우리가 <모비딕>에 다시 주목하는 이유

 

 

사악한 , 모비딕

(원제: Why Read Moby-Dick?)

나타니엘 필브릭(Nathaniel Philbrick) 지음 | 홍한별 옮김 | 저녁의책

 

 

 (책을 읽으며 기록했던 메모들)

  

책은 <주홍글씨> 작가 나타니엘 호손의 이름과 같은 이름(나타니엘) 저자가 <모비딕> 다시 읽어내려간 독서기록이다. 저자가 주목하는 부분은 나타니엘 호손과 <모비딕> 작가 허먼 멜빌과의 관계이다. <모비딕> 거의 완성할 즈음인 1850년대 초에 이웃에 살던 나타니엘 호손과 친해진 멜빌과의 친분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하기도 하며 <모비딕> 완성되는 시기 전후에 멜빌에 미친 호손의 영향을 좀더 자세히 있는 기회가 되었다. 작가는 매우 상반된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호손은 나이가 멜빌보다 10 이상 연상이었으며, 보다 말수가 적고 내성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멜빌은 포경선과 해군에서 바다생활을 수년 하고 돌아온 매우 에너지 넘치고 말이 많은 성격인 것으로 짐작된다.

 

 

당시 미국의 시대를 조금 들여다보면 1850 대를 전후하여, 미국은 노예제도 관련하여 마치 불붙은 다이너마이트를 안고 있는 것과 같이 긴장된 사회의 분위기를 <사악한 , 모비딕> 작가는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동북부 뉴잉글랜드 지방에서는 포경산업이 이미 성황을 이루었던 시기였으며, 포경산업의 중심에는 퀘이커 교도들이 있었고, 포경산업을 통해 퀘이커 교도들은 당시 부를 축적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저자 나타니엘은 주로 퀘이커 교도들인 낸터킷 포경 상인들은 (고래)기름을 팔아 미국과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이 되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저자는 흑인 노예였다가 탈출, 자유인이 되어 작가 활동가로 변신한 프레데릭 더글라스가 자신의 이야기를 적은 <미국인 노예 프레데릭 더글라스의 이야기>(1845)에서 언급했던 말을 병치시킨다. 가장 잔혹한 노예주가 가장 경건한 사람이기도 하다 모순되어 보이는 진실을 상기시키고 있다. 수많은 고래의 생명을 담보로 부를 축적했던 퀘이커 교도들은 막스 베버가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지적하고 있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있는 사례로 있겠다. 결국은 종교적인 양심과 부의 축적 문제를 어떻게 조화시키냐의 문제를 미국인들은 ‘(신의) 소명 (calling)’이라는 장치로 합리화했다고 있다고 생각한다.

 

 

<사악한 , 모비딕> 작가 나타니엘이 간단히 지적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모비딕> 그야말로 고래 포경업에 관한 방대한 백과사전과도 같은 책인 동시에 당대 미국사회의 모습을 여실히 반영해주는 거울과도 같은 책으로 읽힌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노예제도가 존재했던 시기, 그리고 여성이 이보다 조금 나은(?) 상태였던 시기에 식인종 고래작살잡이 퀴퀘그와 친한 동료가 되고, 흑인이나 백인이나 황인종이나 식인종들과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사람일 이라는 말을 남기고 있는 허먼 멜빌의 견해는 지금의 진보세력과 비할바가 아닌듯 하다. 그대로 포경선이라는 배를 타고 모두가 하나의 목적으로 가지고 서로 협력해야만 하는 선원들은 피부가 어떤 색이냐보다 중요한 실존적인 기본 요구사항들이 있었다는 말이다. 작가가 강조하고 있듯, <모비딕> 후대에 다시 조명을 받고 수많은 작가들로부터 위대한 미국의 문학이자 복음서라고 인정받고 있는 것은 그만큼 시대를 앞서나간 작가의 예민한 시각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는 말이다.

 

 

 

가지 흥미로운 점은 <모비딕> 시작 부분에 멜빌이 읽은 중에서 고래 관련한 문장들을 발췌한 부분이 나오는데, 몽테뉴의 <에세(수상록)> 레이몽 스봉의 변호대목에서 인용한 대목을 발견했다는 점이다.

짐승이든 배든, 다른 것들은 모두 괴물(고래) 아가리, 무시무시한 심연으로 들어가기만 하면 당장 삼켜져서 모습을 감추지만, 오직 바다모샘치만은 그곳으로 안전하게 물러가 잠자리로 삼는다.

  

물론 나의 상상이긴 하지만, 멜빌이 <모비딕> 초입 부에 주인공 이슈마엘의 동료를 식인종 작살잡이 퀴퀘그를 설정한 것도 몽테뉴의 <에세>에서 힌트를 얻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종교와 계급을 불문하고 사람과 상대방에 대해 배우고 대화하기를 즐긴 몽테뉴의 열린 자세 뿐만 아니라, 몽테뉴가 유럽을 방문한 식인종족 사람들과 대화를 나눈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물론 식인종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모비딕>  영향을 실화 에섹스 이야기에서도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에섹스 사건은  <모비딕> 보다 직접적으로 스토리에 영향을 것으로 보인다. 사건은 1810 도에 포경선 에섹스 호가 거대한 향유고래를 잡으려 시도하다가 고래가 배를 여러 들이받고 파선된 사건을 말하는데, 대의 구조선을 타고 탈출한 선원들이 바다에 표류하다가 결국 동료를 잡아먹으며 3 넘게 버티다가 구조되었던 사건이다. 특히나 사건은 당시 미국사회에 충격을 안겨주었을 것이 분명하다. 퀘이커 교도들인 선원들이 바다에서 생존을 위해 분투하다가 죽은 동료의 시신을 먹고, 심지어는 제비뽑기를 하여 명을 희생하여 시신을 먹은 사건이기에 그러하다. 허먼 멜빌을 비롯한 지각있는 작가들은 분명 동물로서의 인간의 본성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더하는 기회였을 것이다.

 

 

<사악한 , 모비딕> 읽어나가다 이런 대목을 발견했다.

자신의 불멸성을 이상 믿지 않게 사람에게 삶은 꿈을 이루기 위한 것이 아니다. 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꾸역꾸역 살아갈 방법을 찾는게 삶이다.

대목을 아주 보여주는 소설이 떠올랐다. 바로 윌리엄스의 <스토너>이다. 소설에는 미국의 지식인(영문과 교수) 삶이 온전히 묘사되는데, 어떤 면에서는 교수로서 사회적으로 성공한 것으로 보이지만, 평생토록 패배만 하는소시민의 모습을 답답하리만치 보여준다. 극적인 사건도, 그렇다고 촌철살인의 유머도 보이지 않는다. 다만 다만 에밀 졸라의 <목로주점>처럼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만을 잔잔하게 제시하고 있다. 어쩌면 윌리엄스도 <모비딕>에서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오늘도 자신의 삶을 꾸역꾸역살아가는 우리 삶의 위대함이 있다고  <스토너> 나에게 말을 건네주었듯, <모비딕> 다른 방식으로 삶을 읽는방법을 제시해주는 같다.

 

 

여기까지 <사악한 , 모비딕> 읽어나가면서 떠올린 단상들을 묶어보았는데, 역시나 두서가 없다. 하지만 보다 다듬고 싶어서 고민하다보면, 메모해둔 단어들을 보더라도 기억이 나지 않을 같아 조급한 마음으로 적어보았다. 아직 <모비딕> 읽어보진 못했으나, 미국 그리고 인간이라는 키워드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해볼 있는 무언가 담고있는 책으로 보인다. 인간과 인간 사회라는 거대한 배에서 일어나는 양상들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비유와 은유가 풍부한 책으로 있을까. 앞으로의 독서에 더욱 기대가 된다. <사악한 , 모비딕> 이런 점에서는 나에게 보다 동기를 책으로 있다. 책의 원제가 모비딕을 읽는가?’라고 직역해본다면, 나는 우리는 모비딕에 주목하는가?라고 보는 편이 적절할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