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딕 마라톤] <모비딕> 4장 천천히 읽기

모비 Moby-Dick or, The Whale

허먼 멜빌(Herman Melville) 지음 | 김석희 옮김 | 작가정신

 

 

[4] 이불(The Counterpane)

 

[4장의 기본 줄거리]

 

여인숙 주인 요나의 중재로 퀴퀘그라는 이름의 작살잡이와 한 침대에서 하룻밤을 보내게 된 이슈메일. 퀴퀘그의 팔이 다정하게 자신의 몸 위에 혀 있는 것을 확인한 이슈메일은 퀴퀘그를 힘겹게 깨운다. 이슈메일은 마침내 일어나 침대 밖으로 나온 퀴퀘그의 몸치장을 비롯하여 외출을 위한 아침 준비 과정을 관찰한다.

 

 

 

 

 

4장의 제목은 ‘이불’로 번역되어 있는데 영어로는 counterpane라고 되어 있다. 이 단어는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침대 덮개용 이불, 침대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나의 이불을 덮고 잔 두 남자는 침대를 매개로하여 마치 부부나 다름없이 허물없는 우정을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따라서 침대란 공간은 한 이불을 함께 덮고 잔 남자들만의 우정을, 그리고 앞으로 동고동락하게될 운명을 암시하는 소품일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인간적인 우정은 마치 부부의 연을 맺은 사람들처럼 죽음만이 이들을 갈라 놓을 수 있을 것이었다. 하지만 이번 4장은 우스꽝스러운 장면을 통해 퀴퀘그의 인물을 소개하고 이슈메일과 퀴퀘그의 조우를 묘사하고 있기도 하다.

 

 

(이슈메일) (퀴퀘그) 팔을 움직이려고 했다. 신부를 끌어안은 신랑 같은 그의 팔을 풀려고 애썼다. 하지만 그는 깊이 잠들어 있는데도 나를 끌어안고 있어서, 죽음만이 우리를 갈라놓을 있을 같았다. (…) 대낮에 낯선 집에서 식인종과 도끼와 침대에 누워 있다니! ‘퀴퀘그! 제발 일어나, 퀴퀘그!’ 나는 한참 동안 몸부림을 치고, 남자끼리 부부라도 되는 것처럼 다정하게 끌어안는 것이 얼마나 온당치 못한 짓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훈계를 늘어놓은 끝에 마침내 그에게서 하는 소리를 끌어내는 성공했다.

 

 

이런 당황스러운 상황에서 마침내 퀴퀘그는 잠에서 깨어나고, 상황판단을 한 식인종 친구는 침대를 나와 몸치장을 시작한다. 이 때부터 이슈메일은 퀴퀘그를 다시 보기 시작한다. 퀴퀘그를 미개한 식인종으로만 보았던 이슈메일은 그를 예의바르고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한 인간으로 보기 시작하는 것이다. 자신은 낯선 야만인에게 무례하게 굴었음에도, 이 야만인은 도리어 이슈메일을 예의바르게 대하고 존중해주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멜빌이 설정한 침실과 침대보는 한 이불을 덮고 잔 이 두 남자의 우정의 시작을 매개하고, 문명인 대 야만인(식인종)의 만남에서 인간 대 인간의 관계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상징적인 공간이자 소품으로 생각해볼 수 있겠다.

 

 

먼저 침대 밖을 나와 몸치장을 시작하게된 퀴퀘그과 그를 관찰하는 이슈메일을 상상해보라. 1인칭 화자인 이슈메일은 호기심을 가지고 이 ‘예의바른 식인종’의 식전 아침일과를 묘사한다. 이슈메일에 따르면, ‘문명화된 기독교도’는 누구나 세수를 했을 것이지만, 퀴퀘그는 가슴, 손과 팔만을 씼었다. 이어 면도를 시작하는 퀴퀘그는 작살의 날을 부츠에 문질러 날을 벼린 다음 곧바로 면도를 하는 것이다. 이슈메일은 그를 보고 ‘얼굴에 작살질을 시작했다’라고 재미있게 묘사하고 있다. 어쨌든 이 ‘물보라 여인숙’에서 만나게 된 이슈메일과 퀴퀘그는 앞으로 포경선에 올라 함께 생사를 나누게 될 관계가 된다. 말 그대로 ‘죽음’만이 이 둘을 갈라놓게 된다. 4장은 모비 에서 상당히 짧은 장에 속한다. 멜빌이 서서히 드러나는 등장인물과 배경을 설정함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인물에 해당하는 이슈메일과 퀴퀘그가 조우하는 배경을 마련하고, 이들의 관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잠시 쉬어가는 장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20세기 후반까지도 금기시되었던 화제인 동성애적인 상상을 유발하는 이런 상황을 유머러스하게 활용하여, 거친 일도 마다하지 않는 선원들(남자들)의 우정을 예비하는 설정이 매우 흥미롭게 다가온다. 이 소설을 집필하던 시기가 거의 170년 전인 1850년 여름이라는 것을 염두해둔다면 말이다.